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기술85

스위칭 용량(Gbps)과 포워딩 성능(pps)의 차이는 ? 스위칭 용량(Switching Capacity)스위칭 용량(Switching Capacity) 스위치가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스위치의 백플레인 대역폭(Bandwidth), 즉 내부 버스의 전송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스위치의 총 포트 수와 각 포트의 속도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24포트 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치의 스위칭 용량은 24 x 1Gbps = 24Gbps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Full Duplex(전이중) 수치로 표기하여 24Gbps*2 = 48Gbps 입니다.스위칭 용량이 크면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하지만, 실제 전송 속도인 포워딩 성능과는 다릅니다.실제 스위치 제품의 스위칭 용량 계산해보기시스코 Catalyst 9300 Series 스위치.. 2024. 6. 10.
스위칭 용량과 PPS값을 통해 Byte 조건 알아내기 Packet Size Calculator Switching Capacity (Gbps) - half duplex: Packets Per Second (Mpps): 2024. 6. 10.
다형성 멀웨어(polymorphic malware) 소개 및 탐지, 예방방법 다형성 멀웨어(Polymorphic malware)란 ?다형성 멀웨어의 이해다형성 멀웨어는 자신의 코드를 지속적으로 변형시켜 전통적인 백신 프로그램의 탐지를 피하는 악성코드입니다.이를 위해 다형성 악성코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사용합니다:코드 스크램블링: 코드를 암호화하여 백신 프로그램이 인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암호화 키 변경: 각 버전마다 다른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탐지를 어렵게 만듭니다.내부 코드 재배열: 코드의 순서를 바꿔 정상적인 프로그램 행동을 모방합니다.다형성 멀웨어의 확산 방식다형성 악성코드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확산됩니다:피싱 이메일악성 웹사이트취약한 IoT 기기부적절한 계정 관리다형성 멀웨어 대응 방안전통적인 백신 프로그램만으로는 다형성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기 어렵습니다.따.. 2024. 6. 9.
스위칭 용량 및 PPS(Packet Per Second) 계산기 v1.0 스위칭 용량 및 PPS 계산기 v1.0아래 계산기를 통해 스위칭 용량 뿐만 아니라, 64Byte 기준(Full Line Rate)의 PPS값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Network Switching Capacity Calculator Number of 1 Gbps ports: Number of 10 Gbps ports: Number of 25 Gbps ports: Number of 40 Gbps ports: Number of 100 Gbps ports: .. 2024. 6. 9.
CMMC(Cybersecurity Maturity Model Certification) 소개 CMMC(Cybersecurity Maturity Model Certification) 자격 소개 CMMC(사이버 보안 성숙도 모델 인증)는 국방 산업체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 제도로, 국방부 계약 참여를 위해 필수적인 자격증이 되고 있습니다. 기업은 자신의 사이버 보안 수준에 맞는 CMMC 등급을 취득해야 하며, 이를 위해 CMMC 인증기관의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CMMC 자격증은 미국 국방부가 발주하는 계약에 참여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따라서 CMMC 자격증을 취득하면 미국 국방부 관련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CMMC 자격증은 사이버보안 전문성을 인정받는 것이기 때문에 관련 분야에서의 경쟁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CMMC 제.. 2024. 6. 4.
광 트랜시버의 DDM, DOM, RGD 규격은 무엇일까요 ? DDM(Digital Diagnostic Monitoring) DDM 기능의 주요 특징광 트랜시버의 주요 운영 매개변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온도, 전압, 전류, 광 출력 등 다양한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하여 광 트랜시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네트워크 관리자가 광 트랜시버의 성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줌수신된 광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회로 및 원격 송신기의 성능을 제어할 수 있음DDM 기능의 활용광 트랜시버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광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됨예방적 유지보수를 통해 광 네트워크의 가동 시간을 늘릴 수 있음광 트랜시버의 수명 연장 및 운영 비용 절감에 기여DDM 기능은 광 네트워크 관리자가 광 트랜.. 2024.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