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뉴스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점

by romydady 2024. 4. 9.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는 디지털 시대의 금융 혁신을 대표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여기서 각각에 대한 간단한 정의를 제공합니다.

비트코인 정의

  • 비트코인: 비트코인(BTC)은 디지털 화폐로서 그 매매, 사용, 배분 등이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비트코인은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서 중앙집중적인 기관이나 개인이 이를 통제하지 않는다. BTC는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프로그래머(또는 복수의 프로그래머들)가 만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암호화폐 정의

  • 암호화폐: 암호화폐는 공개 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되며,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소유권을 쉽게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암호화폐의 역사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비트코인은 2008년에 소개된 최초의 암호화폐로, 이후 알트코인이라고 불리는 대안 디지털 자산의 창조를 영감을 주었다. 이더리움의 비탈릭 부테린은 1994년 닉 자보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스마트 계약을 개발했습니다.

암호화폐의 발전

  • 이더리움과 스마트 계약: 비트코인 이후, 이더리움이라는 또 다른 중요한 암호화폐가 등장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 기능을 도입하여 암호화폐의 사용 사례를 확장시켰습니다. 
  • 디파이(DeFi)의 등장: 최근 몇 년 사이에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가 등장하며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가 확장되었습니다. 디파이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의 대안으로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자율성과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는 디지털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사용과 영향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점

비트코인과 다른 암호화폐 네트워크는 다양한 보안 취약점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취약점은 기술적 문제부터 규제 및 법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여기에는 51% 공격, ATM 장비의 보안 취약점, 해킹 사고 등이 포함됩니다.

기술적 취약점

  • 51% 공격: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51% 공격은 한 주체가 네트워크의 해시 레이트의 과반수를 통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입니다. 이를 통해 거래의 이중 지출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 ATM 장비의 보안 취약점: 비트코인 ATM 제조사 Lamassu의 ATM 장비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을 통해 해커들이 기기를 제어하고 자금 및 개인 정보를 도난할 수 있습니다. 

51% 공격의 영향

  • 이중 지출: 공격자는 같은 코인을 두 번 지출하려고 시도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해치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손실을 입힐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신뢰성 저하: 51% 공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며, 이는 투자자와 사용자들의 신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규제 및 법적 문제

  • 정부의 관심과 규제 불확실성: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는 정부의 관심과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킵니다. 

해킹 사고

  •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으로, DNS 해킹, SIM 재킹, 지갑 해킹, 51% 공격, 피싱 사기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암호화폐 네트워크의 보안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다양한 취약점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51% 공격과 같은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보안 기술을 개발하고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신 보안 조치를 따르고, 거래소 및 지갑의 보안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8가지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례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은 암호화폐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해킹 사건들은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초래하며, 거래소의 폐쇄와 법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가장 악명 높은 암호화폐 해킹 사례들입니다.

로닌 네트워크

  • 해킹 시기: 2022년 3월
  • 탈취 금액: 약 6억 1,500만 달러
  • 해킹 방법: 개인 키 도난을 통한 이더리움 및 USDC 스테이블코인 탈취

폴리 네트워크

  • 해킹 시기: 2021년 8월
  • 탈취 금액: 6억 1,100만 달러
  • 특이 사항: 해커가 탈취한 자금을 모두 반환

FTX

  • 해킹 시기: 2022년 11월 및 2023년 1월
  • 탈취 금액: 6억 달러 이상 및 1,500만 달러
  • 해킹 상세: 파산 선언 당일 및 이후에 걸쳐 발생한 해킹 사건 5

바이낸스

  • 해킹 시기: 2022년 10월
  • 탈취 금액: 5억 7천만 달러
  • 해킹 방법: BSC 토큰 허브 크로스 체인 브리지 악용 

코인체크

  • 해킹 시기: 2018년 1월
  • 탈취 금액: 5억 3,400만 달러
  • 해킹 대상: 넴(NEM) 코인

마운트곡스

  • 해킹 시기: 2011년 및 2014년
  • 탈취 금액: 40만 달러 및 4억 3,700만 달러
  • 결과: 거래소 폐쇄

비트마트

  • 해킹 시기: 2021년 12월
  • 탈취 금액: 1억 9,600만 달러 이상
  • 해킹 방법: 관리자 키 도난을 통한 코인 탈취

노매드 브리지

  • 해킹 시기: 미상
  • 탈취 금액: 1억 9천만 달러
  • 특이 사항: 피해 자금 중 3,600만 달러만 회수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례들은 암호화폐 사용자들에게 보안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거래소 선택 시 보안 정책과 사용자 리뷰를 꼼꼼히 확인하고, 개인 보안 의식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