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7 - [IT뉴스] - 엔비디아(Nvidia), AI-Ready 머신으로 GPU 시장을 지배하다
2024.06.04 - [IT뉴스] - 엔비디아(Nvidia)와 네트워크 벤더간 AI 네트워킹 협력 강화
2024.08.16 - [IT기술] - NVIDIA RTX 3080 vs AMD RX 6800 XT: 성능과 가격의 완벽 비교
엔비디아의 '블랙웰' 저가형 AI 칩, 중국 시장을 다시 노크하다
엔비디아가 또 한 번 중국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무기를 꺼내 들었습니다. 바로 최신 아키텍처인 '블랙웰(Blackwell)' 기반의 저가형 AI 칩을 출시한다는 소식입니다. 미국의 강력한 수출 규제를 피해,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키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보입니다.
이번에 공개된 블랙웰 칩은 기존 H20 모델보다 가격이 크게 낮아질 전망입니다. H20이 1만~1만2천 달러에 판매됐던 것과 달리, 블랙웰 칩은 6,500~8,000달러(한화 약 900만~1,100만 원)로 책정될 예정입니다. 가격이 저렴해진 이유는 스펙을 낮추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고성능 HBM(고대역폭 메모리) 대신 일반 GDDR7 메모리를 사용하고, TSMC의 첨단 CoWoS 패키징 기술도 빠졌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가 이렇게까지 '다운그레이드'를 감수하면서까지 중국 시장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중국 데이터센터 시장만 해도 연 500억 달러(약 67조 원)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엔비디아의 연 매출 중 13%가 중국에서 발생합니다.

미국의 수출 규제, 그리고 엔비디아의 '묘수'
이번 저가형 블랙웰 칩 출시는 미국 정부의 AI 칩 수출 규제를 정면으로 돌파하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H20 칩의 대중국 수출을 사실상 금지했죠.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H20의 하향 버전을 개발하려 했으나, 미국 정부의 규제 기준을 맞추는 데 실패했습니다.
결국 엔비디아는 아예 새로운 블랙웰 기반 칩을 설계해, 메모리 대역폭 등 미국 정부가 제한한 핵심 사양을 의도적으로 낮췄습니다. 이 칩은 미국 수출 규정에 맞춰 설계됐기 때문에, 중국 시장에 합법적으로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의 반응: 규제 완화와 시장 불확실성
미국의 반응은 다소 복합적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바이든 정부 시절 도입됐던 '국가별 등급제' 등 일부 엔비디아 AI 칩 수출 규제를 완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고려한 '탈규제' 신호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중국의 AI 기술 발전을 견제하기 위한 핵심 메커니즘으로 여전히 수출 통제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측은 "미국 정부의 최종 승인이 나기 전까지는 중국 시장에 완전히 접근할 수 없다"며 여전히 불확실성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H20 수출 금지로 인해 엔비디아는 55억 달러의 재고 손실과 150억 달러의 매출 손실을 입었고, 중국 내 시장 점유율도 95%에서 50%로 급락했습니다.

중국 시장의 반응과 엔비디아의 미래
중국 내에서는 엔비디아의 저가형 블랙웰 칩 출시를 '환영 반, 경계 반'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엔비디아의 최신 아키텍처를 경험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지만, 사양이 낮아진 만큼 화웨이 등 자국 기업의 AI 칩과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엔비디아는 이번 블랙웰 칩 외에도, 또 다른 중국 전용 AI 칩을 9월 양산 목표로 개발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자 AI 패권 경쟁의 핵심 무대인 중국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엿보입니다.
엔비디아의 '고군분투', 그리고 글로벌 AI 시장의 미래
엔비디아의 저가형 블랙웰 칩 출시는 단순한 신제품 출시가 아닙니다. 미국과 중국, 그리고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에서 '규제와 혁신'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줄타기하는 한 기업의 생존 전략이자, 첨단 기술 시장의 치열한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과연 엔비디아의 이번 승부수가 중국 시장에서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그리고 미국의 수출 규제와 글로벌 AI 시장의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앞으로의 전개가 더욱 흥미로워질 전망입니다.
'IT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오픈AI를 위해 400억 달러짜리 ‘NVIDIA 칩’ 질렀다? (0) | 2025.05.25 |
---|---|
탄자니아 정부 계정 해킹과 X(트위터) 접속 차단, 그리고 VPN의 세계 (0) | 2025.05.25 |
X(트위터) 서비스 장애 원인: 데이터센터 화재와 머스크의 인프라 리스크, 향후 영향은? (0) | 2025.05.25 |
오픈AI, 아부다비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 센터 건설! (0) | 2025.05.24 |
인텔, 네트워킹 부문 매각 검토! ‘칩 본진’으로 돌아가는 대격변 (0) | 2025.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