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기술61

AI 시대의 주역, 플랫폼 엔지니어 플랫폼 엔지니어링과 AI와의 관계인공지능(AI)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모든 규모의 기업들은 획기적인 기술을 가능한 한 빨리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앱을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개발자들은 승인 절차가 지나치게 길거나 부서 간의 워크플로가 비효율적이거나 리소스가 부족하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 엔지니어링(Platform Engineering)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최근 몇 년 동안 등장한 개념으로, 개발과 운영을 통합하고 자동화하여 개발 라이프사이클을 개선하고 단축하는 DevOps의 발전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단순히 개발과 운영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2024. 6. 19.
HSRP와 VRRP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 개요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Gateway Redundacy Protocol)은 하나 이상의 백업 라우터를 사용하여 기본 라우터의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이중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로는 HSRP(Hot Standby Router Protocol)와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가 있습니다.FHRP 개요FHRP는 네트워크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라우터의 이중화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기본 게이트웨이 라우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대기 라우터가 자동으로 기본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게 됩니다.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 2024. 6. 16.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해 알아보자 ARP 개요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해석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IP) 스위트 내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ARP의 주요 목적은 IP 주소를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 주소(MAC 주소)로 매핑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내의 장치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일반적인 환에서 장치가 동일한 LAN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려면 대상 장치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ARP는 알려진 IP 주소를 해당하는 MAC 주소로 변환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합니다.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 2024. 6. 16.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란 무엇인가 ICMP 개요컴퓨터 네트워크 세계에서는 장치 간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프로토콜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그러한 프로토콜 중 하나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입니다. TCP나 UDP만큼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ICMP는 네트워크의 상태와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FC 792에 정의된 ICMP는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통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서 작동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품군의 필수 부분입니다. ICMP는 오류 보고 및 네트워크 진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된 ARPANET 프로젝트의 일부로 1981년에 처음 도입되었습니다.IC.. 2024. 6. 1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란 무엇인가 SNMP 프로토콜의 역사와 개요SNMP 프로토콜의 탄생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1980년대 초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TCP/IP 프로토콜이 널리 보급되면서 네트워크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987년 SGMP(Simple Gateway Monitoring Protocol)라는 초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 등장했습니다.SGMP는 네트워크 장치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었지만, 기능이 제한적이었습니다. 이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SGMP를 발전시켜 SNMP 프로토콜을 개발했습니다. SNMP는 SGMP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강력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 2024. 6. 14.
NMS(네트워크 관리 시스템)는 무엇인가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개요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은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NMS는 네트워크 인프라의 모니터링, 관리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중앙 플랫폼을 제공하여 최적의 성능, 신뢰성 및 보안을 보장합니다. NMS 기능은 장애 관리, 구성 관리, 성능 관리, 보안 관리 및 계정 관리로 구분되며, 각 기능은 네트워크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olarWinds NPM, ManageEngine OpManager, Nagios XI, PRTG, Cisco Prime Infrastructure, WhatsUp Gold, Zabbix 및 IBM Tivoli Network Manager와 같은 대표적인 NMS 프로그램은 소.. 2024.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