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PE, 주니퍼 인수로 AI 전략 가속화 2024.02.13 - [IT뉴스] - HPE와 주니퍼의 네트워킹 사업 연속성에 대한 우려2024.04.04 - [IT뉴스] - 주니퍼 네트웍스의 주주들 HPE의 인수제안에 대해 승인하다2024.05.05 - [IT뉴스] - 주니퍼 네트웍스의 수익감소, HPE 인수의 명과 암2024.05.22 - [IT뉴스] - 주니퍼 네트웍스, AI로 승부수 띄운다2024.01.11 - [IT뉴스] - HP의 주니퍼(Juniper) 인수 이야기HPE의 AI 전략HPE는 Discover 2024 행사에서 NVIDIA와 협력하여 'NVIDIA AI Computing by HPE'를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 고객들이 AI 기술을 더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HPE는 또한 주니퍼 네트웍스(Juniper.. 2024. 6. 25.
AI 시대의 주역, 플랫폼 엔지니어 플랫폼 엔지니어링과 AI와의 관계인공지능(AI)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모든 규모의 기업들은 획기적인 기술을 가능한 한 빨리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앱을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개발자들은 승인 절차가 지나치게 길거나 부서 간의 워크플로가 비효율적이거나 리소스가 부족하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 엔지니어링(Platform Engineering)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최근 몇 년 동안 등장한 개념으로, 개발과 운영을 통합하고 자동화하여 개발 라이프사이클을 개선하고 단축하는 DevOps의 발전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단순히 개발과 운영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2024. 6. 19.
시스코 라이브 2024 둘러보기 시스코 라이브 2024 개요시스코 라이브(Cisco Live)는 네트워킹 및 통신 장비 전문 다국적 기술 회사인 시스코 시스템즈에서 주최하는 연례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IT 전문가, 업계 전문가 및 시스코 파트너를 한자리에 모아 시스코의 최신 기술, 트렌드 및 솔루션에 대해 알아봅니다.2024년 시스코 라이브는 2024년 6월 2일부터 6일까지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다양한 주요 강연, 분과별 세션, 실습 랩 및 네트워킹 기회가 제공되었습니다. 행사의 테마는 "Inspiring to Go Beyond" 이었으며, 시스코는 조직이 디지털 전환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기술을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둡니다.시스코 라이브 2024 개요시스코 라이브는 시스코 고객 및 파트너들이 지식.. 2024. 6. 18.
스플렁크(Splunk), 시스코와 시너지 효과 기대 2024.03.19 - [IT뉴스] - 시스코 Splunk 인수 완료, AI와 통합 가시성의 날개를 달다2024.05.15 - [IT뉴스] - SIEM 시장과 가트너 매직쿼드런트(MQ) 순위 변화2024.05.22 - [IT뉴스] - 시스코의 역대급 실적 부진과 스플렁크 인수 효과시스코의 스플렁크 인수 의미와 고객에 대한 영향시스코는 2024년 3월 280억 달러라는 거액으로 스플렁크를 인수했습니다. 이번 인수로 시스코는 가시성(observability) 분야를 강화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인수와 마찬가지로 기존 스플렁크 고객들은 잠재적인 변화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객 지원 품질과 대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를 보이고 있습니다.인수 후.. 2024. 6. 18.
대전 청년생활법률상담소 지원 내용 및 상담 신청 방법 청년생활법률상담소 사업 개요사업개요사업명 : 2024년 청년 사회적응지원 생활법률상담소사업목적 - 사회초년생 청년을 대상으로 한 범죄 및 생활 속 불안정 요소로 인한 피해 예방- 청년의 일상 속에서 겪는 법률 문제를 전문 상담을 통해 해결하여 삶의 질 향상 지원지원내용 - 가정, 주거, 금융, 범죄 등 폭넓은 분야의 생활 및 민·형사상 법률 상담 지원- 대전지방변호사회 소속 변호사의 1:1 대면 법률 상담 지원(30분)지원자격 - 대전광역시에 주소를 두고 거주중인 18세~39세 청년- 대전광역시 소재의 학교 재학·직장 재직 중인 18세~39세 청년신청기간 - ‘24. 5. 30.(목) 9:00 ~ 선착순 예약- 대전청년내일재단 네이버 예약 (naver.me/xVAo8TQX)상담기간- ‘24. 6. 3.(.. 2024. 6. 17.
HSRP와 VRRP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 개요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Gateway Redundacy Protocol)은 하나 이상의 백업 라우터를 사용하여 기본 라우터의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이중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로는 HSRP(Hot Standby Router Protocol)와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가 있습니다.FHRP 개요FHRP는 네트워크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라우터의 이중화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기본 게이트웨이 라우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대기 라우터가 자동으로 기본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게 됩니다.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 2024. 6. 16.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해 알아보자 ARP 개요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해석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IP) 스위트 내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ARP의 주요 목적은 IP 주소를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 주소(MAC 주소)로 매핑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내의 장치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일반적인 환에서 장치가 동일한 LAN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려면 대상 장치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ARP는 알려진 IP 주소를 해당하는 MAC 주소로 변환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합니다.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 2024. 6. 16.
한국에서 일본 가는 항공 승무원 알바 지원 방법 한국-일본 항공 승무원 알바에 대해 알아보자한국에서 일본으로 가는 직항 노선이 많으며, 주요 항공사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가항공사 등이 있습니다.항공사 승무원 알바 구하는 방법으로는 항공사 채용 공고 확인,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활용, 유튜브 영상 시청 등이 있습니다.승무원 알바 지원 시 외국어 능력, 서비스 마인드, 유연성 등이 중요한 자격요건입니다.승무원 알바 경험은 향후 정규직 승무원 취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한국-일본 직항 노선 및 주요 항공사한국에서 일본까지 23개 항공사가 운항하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노선은 인천국제공항에서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까지입니다. 주요 항공사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가항공사인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이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항공권 예매, 마일리.. 2024. 6. 14.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란 무엇인가 ICMP 개요컴퓨터 네트워크 세계에서는 장치 간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프로토콜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그러한 프로토콜 중 하나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입니다. TCP나 UDP만큼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ICMP는 네트워크의 상태와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FC 792에 정의된 ICMP는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통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서 작동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품군의 필수 부분입니다. ICMP는 오류 보고 및 네트워크 진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된 ARPANET 프로젝트의 일부로 1981년에 처음 도입되었습니다.IC.. 2024. 6. 1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란 무엇인가 SNMP 프로토콜의 역사와 개요SNMP 프로토콜의 탄생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1980년대 초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TCP/IP 프로토콜이 널리 보급되면서 네트워크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987년 SGMP(Simple Gateway Monitoring Protocol)라는 초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 등장했습니다.SGMP는 네트워크 장치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었지만, 기능이 제한적이었습니다. 이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SGMP를 발전시켜 SNMP 프로토콜을 개발했습니다. SNMP는 SGMP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강력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 2024. 6. 14.
NMS(네트워크 관리 시스템)는 무엇인가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개요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은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NMS는 네트워크 인프라의 모니터링, 관리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중앙 플랫폼을 제공하여 최적의 성능, 신뢰성 및 보안을 보장합니다. NMS 기능은 장애 관리, 구성 관리, 성능 관리, 보안 관리 및 계정 관리로 구분되며, 각 기능은 네트워크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olarWinds NPM, ManageEngine OpManager, Nagios XI, PRTG, Cisco Prime Infrastructure, WhatsUp Gold, Zabbix 및 IBM Tivoli Network Manager와 같은 대표적인 NMS 프로그램은 소.. 2024. 6. 14.
스위칭 용량(Gbps)과 포워딩 성능(pps)의 차이는 ? 스위칭 용량(Switching Capacity)스위칭 용량(Switching Capacity) 스위치가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스위치의 백플레인 대역폭(Bandwidth), 즉 내부 버스의 전송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스위치의 총 포트 수와 각 포트의 속도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24포트 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치의 스위칭 용량은 24 x 1Gbps = 24Gbps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Full Duplex(전이중) 수치로 표기하여 24Gbps*2 = 48Gbps 입니다.스위칭 용량이 크면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하지만, 실제 전송 속도인 포워딩 성능과는 다릅니다.실제 스위치 제품의 스위칭 용량 계산해보기시스코 Catalyst 9300 Series 스위치.. 2024. 6. 10.
반응형